귀향 (2016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향》은 1943년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위안부로 끌려간 소녀들의 이야기를 다룬 2016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강하나, 서미지, 손숙 등이 출연하며, 강일출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다. 영화는 위안부 소녀들의 고통스러운 경험과 탈출 시도, 그리고 살아남은 영희가 겪는 아픔을 그린다. 개봉 첫 주말에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으며, 2017년 감독판이 발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영화 -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영화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송신도 할머니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벌이는 법정 투쟁과 주변 사람들과의 신뢰 구축 과정을 담은 작품으로, 송신도 할머니 본인 출연 및 문소리 내레이션 참여, 그리고 전주국제영화제 JJ-Star상 특별 언급 수상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영화 - 낮은 목소리
변영주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낮은 목소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수요시위와 나눔의 집에서의 일상, 중국 우한 거주 피해자들의 증언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고통스러운 과거와 현재를 조명한다.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밀정 (영화)
영화 《밀정》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와 일본 경찰 사이의 심리전을 그린 김지운 감독의 작품으로, 1923년 황옥 경부 폭탄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송강호, 공유, 한지민 등이 출연했다.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군함도 (영화)
군함도(영화)는 일제강점기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리는 조선인들의 탈출을 그린 영화로, 2017년 개봉하여 흥행과 역사 왜곡 논란을 겪었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콰이강의 다리
데이비드 린 감독의 영화 《콰이강의 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콰이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다리 폭파를 시도하는 특공대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미드웨이 (2019년 영화)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19년 미국 전쟁 영화 《미드웨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을 배경으로 미국과 일본 해군의 치열한 전투와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이야기를 그리며, 에드 스크레인, 패트릭 윌슨, 우디 해럴슨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스캔라인 VFX와 픽소몬도가 시각 효과를 담당했다.
귀향 (201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귀향 |
로마자 표기 | Gwi-hyang |
영어 제목 | Spirits’ Homecoming |
감독 | 조정래 (조정네) |
제작 | |
각본 | 조정래 |
각색 | 조정아 |
출연 | 강하나 최리 손숙 서미지 오지혜 |
음악 | 함현상 |
촬영 | 강상협 |
편집 | 박민선 |
메이크업/헤어 | 강은하 |
스튜디오 | 제이오 엔터테인먼트 |
배급 | 와우픽쳐스 Red Apollo Group Long Shong Entertainment Multimedia Company Dreamwest Pictures, JBG Pictures Pan Media & Entertainment |
개봉 | |
개봉일 | 2016년 2월 24일 |
상영 시간 | 127분 |
언어 | 한국어 |
제작비 | 25억 원 |
관객수 | 345만명 |
흥행 수익 | 79억 원 () |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2. 줄거리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제강점기하에서 열네 살 정민(강하나 분)은 가족과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나, 일본군에 의해 영희(서미지 분)를 비롯한 다른 소녀들과 함께 만주로 강제로 끌려가 위안부가 되어 성 노예 생활을 하게 된다.
강하나 : 정민 역
영희와 정민을 포함한 소녀들은 일본어만 사용해야 했고, 끊임없이 병사들에게 학대와 구타를 당했다. 몇몇 소녀들은 정신을 잃기도 했으며, 한 병사는 정민에게 지도를 주며 잘 대해주기도 했다. 정민, 영희, 그리고 다른 네 명은 탈출을 계획했지만, 일본군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하고, 탈출자, 정신이 나간 소녀, 부상당한 여성들은 더 큰 수용소에서 치료를 받기로 약속받았으나, 결국 군인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시체는 불태워졌다.
중국과 소련의 반격이 시작되자, 일본군은 모든 위안부들을 죽이고 시체를 소각하려 했다. 정민은 영희에게 자신의 부적을 건네주고 명령에 따르라고 부탁하지만, 소녀들은 조선 의용군에 의해 구출된다.
영희와 정민은 학살에서 손을 잡고 탈출하던 중, 부상당한 일본군이 칼로 그들을 죽이려 했지만, 의용군이 그 병사를 쏘고 소녀들을 구출했다. 하지만 죽어가는 병사가 정민에게 총을 쏴 정민은 사망하고, 영희는 고향으로 돌아와 오래 살았다.
또 다른 줄거리는 노파이자 전직 위안부였던 영희의 이야기이다. 그녀는 부적을 만들어 팔며 과거를 잊으려 했지만, 다른 전직 위안부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공개하자, 정부 사무소를 방문한다. 하지만, 관리들은 그녀를 함부로 대했고, 그녀는 한국 무속 신앙 친구의 젊은 제자인, 죽은 자들의 영혼을 불러낼 수 있는 무당과 친구가 된다.
노파 영희는 젊은 제자에게 '할머니'라고 부르라고 하고, 함께 고향을 방문하지만 모든 것이 변해버려 속상해한다. 젊은 제자는 정민의 영혼을 불러내고, 노파 영희는 청소년기의 사건들을 다시 경험한다.
제자는 일본군에게 죽임을 당한 위안부들의 영혼을 위한 귀향 의식을 거행하고, 정민의 영혼은 부모의 집으로 돌아와 가족과 간단한 잔치를 나눈다.
3. 등장인물
최리 : 은경 역
손숙 : 영옥 (영희) 역
서미지 : 영희 역
정인기 : 정민 부 역
오지혜 : 정민 모 역
정무성 : 기노시타 역
차순형 : 요시미 역
홍세나 : 옥분 역
김시은 : 분숙 역
백수련 : 송희 역
남상지 : 자이오페이 역
이승현 : 다나카 역
김민수 : 노리코 역
류신 : 요시오 역
임성철 : 류스케 역
김인식 : 하마다 역
유제형 : 일본군 역
지윤재 : 사이토우 역
박근수 : 박만이 역
박충환 : 히로세 역
노지용 : 고다마 역
윤정로 : 쿠로다 역
김신광 : 마츠다 역
3. 1. 과거
1943년, 천진난만한 열네 살 정민은 영문도 모른 채 일본군 손에 이끌려 가족의 품을 떠난다. 정민은 함께 끌려온 영희, 그리고 또래 아이들과 함께 기차에 실려 알 수 없는 곳으로 향한다.
강하나가 정민 역을, 최리가 은경 역을 맡았다. 서미지는 어린 영희 역을, 손숙은 성인이 된 영옥(영희) 역을 연기했다. 정인기는 정민의 아버지 역을, 오지혜는 정민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백수련은 송희 역을 연기했으며, 차순형은 요시미 역을, 홍세나는 옥분 역을 맡았다. 남상지는 자오 페이 역으로 출연했다.
3. 2. 현재
강하나는 정민 역을 맡았다. 최리는 은경 역을 맡았다. 손숙은 영옥(영희) 역을 맡았으며, 서미지는 어린 영희 역을 맡았다. 정인기는 정민의 아버지 역을, 오지혜는 정민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백수련은 송희 역을, 차순형은 요시미 역을, 남상지는 자오 페이 역을 맡았다.
3. 3. 일본군
정무성은 기노시타 역을 맡았다. 차순형은 요시미 역을, 이승현은 다나카 역을, 김민수는 노리코 역을, 류신은 요시오 역을, 임성철은 류스케 역을, 김인식은 하마다 역을, 유제형은 일본군 역을, 지윤재는 사이토우 역을, 박근수는 박만이 역을, 박충환은 히로세 역을, 노지용은 고다마 역을, 윤정로는 쿠로다 역을, 김신광은 마츠다 역을 맡았다.
3. 4. 정민의 가족
정인기 : 정민 부 역
오지혜 : 정민 모 역
4. 제작 과정
2002년, 조정래 감독은 나눔의 집(위안부 피해자 후원 시설)에서 위안부로 인정된 강일출을 취재하여 제작을 기획했다.[12] 조정래 감독은 강일출의 그림에서 영화의 영감을 얻었다.[9] 강일출은 어린 시절 일본군에게 위안부로 학대받았으며, 그림은 그녀가 직접 경험한 상황을 보여준다. 일본군이 질병이나 허약함으로 고통받는 '위안부'들을 소각장으로 끌고 가 총살하는 모습과, 증거를 없애기 위해 시체에 불을 지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강일출은 심리 치료 세션 중에 이 그림을 그렸다. 조정래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위안부'들에게 다가가 그들의 상처받은 기억을 위로하고자 한다.[9]
크라우드 펀딩 등으로 제작비를 모금하여 14년 만에 영화를 완성했다.[12] 2015년 4월 15일부터 6월 22일까지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 양평군, 경상남도 거창군 등에서 총 43회 촬영이 진행되었다.[22] 출연 배우 손숙은 출연료를 받지 않고 출연하였으며, 흥행에 따라 발생하는 자신의 수익을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기부하겠다고 밝혔다.[23]
한국에서는 누적 관객 수 358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에 성공했으며,[12] 2017년 9월에는 장면 추가와 위안부 증언을 더한 감독판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가 발매되었다.[13]
5. 반응 및 평가
이 영화는 개봉 첫 주말에 6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3]
프리랜서 작가 최석영은 강일출의 증언에 근거한 내용이 아니라, 30명 이상의 위안부 증언 중에서 그림이 될 만한 부분만 골라 짜깁기하거나, 증언에 없는 장면을 덧붙이는 등 반일 영화라고 비판했다.[14]
2017년, 한국의 역사학자 심용환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한 한국 영화 군함도의 평론에서, 본작인 『귀향』에 대해 수년간 위안부 관련 자료를 봐왔지만 영화의 절반 이상이 위안부 문제의 왜곡이며, 강제 동원의 현실은 『군함도』가 훨씬 정확하다고 기술하자, 위안부들이 공동 생활을 하는 나눔의 집에서 "역사를 부정하는 악의적인 발언으로, 반역사적, 반인권적인 궤변"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 "영화 『귀향』은 일본군 성노예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과 실증 자료를 통해 제작된 것이다"라는 보도 자료를 내고, 위안부에 대한 명예 훼손으로 공개 사죄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심용환은 페이스북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께 사죄드립니다. 이유를 불문하고, 할머니들이 상처받으셨다면 모두 제 잘못입니다. 진심으로 죄송합니다"라고 사과했다.[15]
5. 1. 흥행
25억 원의 제작비로[16][17] 제작된 《귀향》은 2016년 2월 29일 기준으로 79억 4천 만원의 수익을 기록하였다.2016년 2월 24일 대한민국의 극장에서 개봉하였는데 개봉 첫 날 507개의 스크린에서 상영되어 15만 4천여명을 동원하며,[24] 9억 3천의 수익을 기록하였다. 개봉 첫 주에는 105만 명을 동원하며 79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였다.
귀향은 점점 미디어의 흐름을 타고 위안부라는 가슴 아픈 역사적 사건에 대해 말하고 있는 점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냈고 개봉한지 약 3주만에 누적관객수를 300만명을 돌파하였다.[25] 이러한 호응을 바탕으로 미국, 중국 등에서도 개봉한다.
이 영화는 개봉 첫 주말에 6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3]
5. 2. 비평
이 영화는 개봉 첫 주말에 6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3]프리랜서 작가 최석영은 강일출의 증언에 근거한 내용이 아니라, 30명 이상의 위안부 증언 중에서 그림이 될 만한 부분만 골라 짜깁기하거나, 증언에 없는 장면을 덧붙이는 등 반일 영화라고 비판했다.[14]
2017년, 한국의 역사학자 심용환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한 한국 영화 군함도의 평론에서, 본작인 『귀향』에 대해 수년간 위안부 관련 자료를 봐왔지만 영화의 절반 이상이 위안부 문제의 왜곡이며, 강제 동원의 현실은 『군함도』가 훨씬 정확하다고 기술했다. 이에 위안부들이 공동 생활을 하는 나눔의 집에서 "역사를 부정하는 악의적인 발언으로, 반역사적, 반인권적인 궤변"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 "영화 『귀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과 실증 자료를 통해 제작된 것이다"라는 보도 자료를 내고, '위안부'에 대한 명예 훼손으로 공개 사죄를 요구했다. 심용환은 페이스북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께 사죄드립니다. 이유를 불문하고, 할머니들이 상처받으셨다면 모두 제 잘못입니다. 진심으로 죄송합니다"라고 사과했다.[15]
5. 3. 허그 투게더 캠페인
조 엔터테인먼트는 '허그 투게더 캠페인'을 홍보하고 있다.[10] 이 캠페인은 과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상처와 정신적 고통을 따뜻한 포옹으로 치유하기 위해 열린다.[10] 또한, 힘든 삶과 고된 노동, 상처받은 마음으로 따뜻한 포옹이 필요한 현대인들에게도 해당된다.[10]6. 수상 내역
2016년 제21회 춘사영화상에서 관객이 뽑은 최고인기 영화상을, 제36회 황금촬영상에서 촬영신인상(김상협), 신인감독상(조정래), 신인여우상(서미지)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 제3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kreative thinking상, 제53회 대종상 신인감독상(조정래), 여자 뉴라이징상(최리)을 수상했다.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6 | 춘사 영화상 | 관객이 뽑은 최고 인기 영화상 | 귀향 | 수상 |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 창의적인 생각상 | 귀향 | 수상 | |
황금촬영상 | 촬영상 신인상 | 김상협 | 수상 | |
신인감독상 | 조정래 | 수상 | ||
신인여우상 | 서미지 | 수상 | ||
대종상 | 신인감독상 | 조정래 | 수상 | |
여자 뉴라이징상 | 최리 | 수상 |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pirits' Homecoming (Movie - 2015)"
http://www.hancinema[...]
2016-02-29
[2]
웹사이트
"Spirits' Homecoming (2016)"
http://www.koreanfil[...]
2017-05-21
[3]
웹사이트
"'Deadpool' Crosses $600M Global; 'Gods Of Egypt' Bow To $24.2M; 'Zootopia' Hops With $30M 3rd Frame – Intl B.O."
https://deadline.com[...]
2016-02-28
[4]
뉴스
"Spirits' Homecoming (2016)"
https://www.koreatim[...]
koreantimes.co.kr
[5]
뉴스
"Spirits' Homecoming (2016)"
https://www.reuters.[...]
reuters.com
[6]
뉴스
"Spirits' Homecoming (2016)"
http://world.kbs.co.[...]
world.kbs.co.kr
[7]
뉴스
"Spirits' Homecoming (2016)"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8]
웹사이트
Going to see "Spirits' Homecoming" becoming much more than just a trip to the movies
http://english.hani.[...]
2016-03-15
[9]
웹사이트
"Spirits' Homecoming accumulates 1.7 million views"
http://eng.ajunews.c[...]
2016-03-02
[10]
웹사이트
귀향 동영상
http://movie.naver.c[...]
2016-03-15
[11]
웹사이트
Gwi-hyang (2016)
https://www.imdb.com[...]
2018-08-27
[12]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慰安婦映画『鬼郷』、21日東京で初上映…「正式公開は不発」"
https://japanese.joi[...]
2016-07-19
[13]
웹사이트
韓国映画『鬼郷』の監督「日本で上映、多くの日本人が泣いた」
https://japanese.joi[...]
2017-09-06
[14]
간행물
韓国「慰安婦映画」大ヒットの病理
http://gekkan.bunshu[...]
文藝春秋
2016-05
[15]
뉴스
韓国の歴史家「慰安婦描いた映画は歪曲だらけ」発言でバッシング受け謝罪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7-07-31
[16]
웹인용
지옥에 끌려간 소녀들…영화 '귀향' 통해 고국으로
http://www.gukjenews[...]
2016-02-22
[17]
웹인용
500만 울린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VOD 수익 전액 ‘귀향’ 후원한다
http://news.heraldco[...]
2016-02-22
[18]
웹인용
KOFIC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http://kobis.or.kr/k[...]
2016-02-29
[19]
웹인용
"[다락 영화방] ‘위안부’ 할머니의 그림이 14년 만에 영화가 되기까지…조정래 감독이 말한 영화 ‘귀향’"
http://news.kbs.co.k[...]
2016-02-25
[20]
문서
http://www.tvreport.[...]
[21]
문서
http://star.mt.co.kr[...]
[22]
웹인용
영화 ‘귀향’ 촬영을 마쳤습니다.
http://joent.net/blo[...]
2016-02-29
[23]
웹인용
"'귀향' 손숙 \"시나리오를 읽고 울긴 처음\""
http://www.yonhapnew[...]
2016-02-25
[24]
웹인용
‘귀향’, 작지만 강한 돌풍의 시작…개봉 첫 날 박스오피스1위
http://news.heraldco[...]
2016-02-25
[25]
뉴스
"[K무비] ‘귀향’ 다시 박스오피스 1위, 관객수 324만…‘런던 해즈 폴른’ UP ‘널 기다리며’ DOWN"
http://www.starseoul[...]
2016-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